본문 바로가기
하늬 재테크 공부/미래 준비 - 연금

노후준비/ 연금저축펀드 적립 챌린지 - 9월 미국 ETF 적립 구매

by 스마트한 하늬 2023. 9. 27.
반응형

 

일명 수페 챌린지.

가격 상관없이 꾸준히 적립식으로 매주 세종목 한 주씩 미국 ETF를 구매하고 있다.

9월 매주 월요일 (한 번 깜빡 잊은 적 있음)에 구매하고 있다.

 

∙ 09.04: KB STAR 미국 S&P 500 (13,030) / KB STAR 미국 나스닥 100 (15,205)/ SOL 미국배당다우존스(9,565)

 09.11: KB STAR 미국 S&P 500 (13,015) / KB STAR 미국 나스닥 100 (15,175)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9,405)

 09.18: KB STAR 미국 S&P 500 (12,935) / KB STAR 미국 나스닥 100 (15,000)/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9,565)

 09.25: KB STAR 미국 S&P 500 (12,645) / KB STAR 미국 나스닥 100 (14,625)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9,405)

 

가격을 보면 현재 주가가 떨어지는 추세이지만 딱히 신경쓰지 않는다.

이건 최소 25년동안 꾸준히 적립식으로 구매할 예정이니까.

 

메트라이프에서 유니버설 변액을 가지고 있었던 나는 거의 10년 가까이 적립식으로 쭉 미국주식을 포트폴리오에 구성해서 넣었다. 뭐 대단한 공부가 필요했던 것도 아니다. 그저 꾸준히 미국 주식으로 넣었더니 지금 순수한 수익이 20% 이상 나고 있다. 그리고 이 수익율은 꾸준히 오르고 있는 중. 오랜시간 + 꾸준함의 힘을 경험했다. 머리아프게 주가 공부를 할 필요도 없었다. 

 

적립식의 가장 큰 장점은 딱히 머리아프게 고민하거나 신경쓸 필요가 없다는 것. 패권이 중국으로 가니마니하더라도 여전히 미국의 힘은 유효하고 그로 인한 경제적인 든든한 뒷빽이 되어준다는 것 역시 유효하다. 이는 앞으로도 계속 쭈욱 진행된다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미국 ETF 적립 구매 챌린지는 연금저축펀드에 꾸준히 계속해서 적어도 20년 이상 할 예정이다.

오히려 지금 당장 사용할 계좌가 아니기에 떨어지는 것도 반갑다. 내 예상 기대수익은 연 10% 정도. 이정도만 되어주면 적금이 아니기에 훨씬 꾸준히 부담없이 연금저축펀드로 활용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 수익도 기대해봄직하다고 본다.

 

반응형

 

 

만약 위 돈을 적금으로 넣는다고 하자. 적금기간은 25년이고 단리/복리 둘다 연 10% 기준으로 계산기를 돌려보면

단리와 월복리의 최종 금액 차이는 상당하다.

 

배당을 추가해서 복리효과를 누리고 장기적으로 봤을 때 꾸준히 경제규모가 커질 수 있는 나라와 산업, 그리고 회사가 포함된 미국 나스닥/S&P를 포함해서 적립식 챌린지 연금저축 계좌를 기대해보는 중!

 

만약 월복리 결과를 기준으로 172,036,785원을 30년간 나눠서 사용한다고 계산해보면

매월  477,870원을 받게 된다. 단순하게 약 13만원을 시간이 지나서 적어도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서 다시 받을 수 있다는 의미. 13만원이 25년이 지난다고 13만원의 가치를 그대로 가지는 것이 아니니 꾸준히 가능한 오랫동안 연금을 구상하고 준비해야할 것 같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노후준비/ 연금저축펀드 적립 챌린지, 미국 ETF 매주 1주씩 구매하기

연금저축펀드의 시작 연금저축펀드에 대해서 알았지만 개설은 최근에 하게 되었다. 그렇다고 노후 준비를 전혀 안 했던 것은 아니다. 메트라이프에서 유니버설 변액을 가지고 있었고 나름 운영

bookishuniverse.tistory.com

 

하늬가 정리하는 연금저축펀드 QnA +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3층 연금

나 역시 최근에 연금저축펀드를 시작했기에 완벽하게 잘 안다고 자부할 수는 없어도 내가 공부한 것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미리 알아두면 알아둘수록 연금저축펀드는 무조건 빨리 시작해야

bookishuniverse.tistory.com

 

 

 

* 이 글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을 뿐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오롯이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