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늬 재테크 공부/미국주식 ETF

하늬의 연금저축펀드/ KBSTAR 미국 S&P 500 ETF 선택한 이유

by 스마트한 하늬 2023. 9. 20.
반응형

KBSTAR 미국 S&P 500 ETF

   ∙ 시가총액: 2,261억원

   ∙ 상장주식수: 17,500,000

   ∙ 기초지수: S&P 500

   ∙ 유형: 해외주식형, 시장대표

   ∙ 상장일: 2021년 04월 09일

  ∙ 펀드보수/ 자산운용사: 연0.021% / 케이비자산운용(주)

  ∙ 특징: 리밸런싱은 연 4회(3월, 6월, 9월, 12월)에 이뤄진다.

 

이 투자신탁은 기초지수인 ‘S&P500 지수의 원화환산지수(환헤지 안함)’의 수익률과 유사한 수익률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으로, 기초지수를 완전 복제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계획입니다. S&P500 지수(S&P500 Index)는 뉴욕상업거래소(NYSE), 나스닥증권거래소(NASDAQ) 등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 중 기업규모, 유동성, 산업 대표성 등을 고려하여 선별된 500 종목을 대상으로 유동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한 미국 대표 주가지수입니다 ETF의 설정단위는 100,000좌이며, 현금설정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한국거래소를 통하여 매매하는 경우에는 1주 단위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 구성종목 상위 14개

애플 /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AT&T/ 뱅크 오브 아메리카/ 구글 알파벳 A/ 파이자/ 구글 알파벳 C/ 베리존 커뮤니케이션/ 인텔/ 컴캐스트/ 시스코 시스템/ 엑손 모빌/ 포드 모터

 

상위권 14위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엔비디아, 테슬라, 존슨&존스, 코카콜라 역시 포함되어있다.

 


KBSTAR 미국 S&P 500 ETF미국 대표 기업 500개를 분산해서 투자하면서 미국지수를 추종하는 ETF.

 

나는 미국지수는 (장기적으로)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기존에 가지고 있던 메트라이프의 유니버셜 변액보험도 100% 미국주식으로 채웠고 아주 소액으로 꾸준히 8년정도 넣었더기 수익률은 무려 28%이상 나고 있다. (그냥 돈만 내고 있는데도 수익이...) 아무것도 몰랐던 시절이지만 그래도 미국이 우리 경제보다 튼튼할테고 꾸준히 배당도 잘 나올거고 지수 추종을 하면 우상향일터이고 더 핵심은 난 이 변액을을 30년뒤에 꺼낼 예정이니 틈틈히 들여다보지 않아도 괜찮겠다 싶어서 시작했는데 결국 지속적으로 수익이 나기 시작하더니 지금은 계속 수익 구간이다 이 속도면 나이가 들어도 최소한 먹고 사는 거는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다 싶어서 다행이랄까.

 

나의 연금저축펀드 구성 종목 중 하나로 선택한 KBSTAR 미국 S&P 500 ETF

KB증권에서 판매하고 있어서 국내 주식처럼 동일하게 매수 가능하다. 하지만 구성종목은 모두 미국 주식으로 되어있다. 미국 S&P 500을 추종하고 있어서 매매 차익에 세금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절세를 하고 싶다면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에 두는 것이 가장 좋다. 그래서 내가 연금저축펀드에 넣은 이유이기도 하다.

 

KBSTAR 미국 S&P 500 ETF는 동일한 미국 S&P ETF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상장되어서 다른 회사 상품에 비하면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아주 높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보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보수가 적은 것이 장점이지만 빠르게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를 하고 싶다면 거래량이 많은 회사의 상품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나는 장기적으로 가지고 갈 예정이라 보수가 적은 KBSTAR 미국 S&P 500 ETF를 선택했다.

 

1주당 가격이 1만 초반대라 부담없이 한 주씩 적립식으로 구매 가능하고 빠르게 대응하기보다는 미국 대형회사/지수를 충분히 전문가가 리밸런싱 해주기 때문에 꾸준히 적립식으로 가져가기에 좋은 것 같다.

 

 

 

 

 

* 이 글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을 뿐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오롯이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