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연금저축 계좌에 적립식 ETF 매수중
벌써 42주차를 맞이하게 되었다. 일명 무지선 ETF 매수중이다. 물론 그 타겟은 미국주식이며 장기투자시 우상향한다는 믿음 하나로 매주 가격 개의치 않고 한 주씩 구매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에 KOEX 인도 Nifty 50을 추가하였다.
장기 포트폴리오, 그러니까 이 적립식 ETF 챌린지는 25년을 보고 시작한 것이라 오랜시간이 지나면 성장가능성이 높은 인도가 큰 역할을 하지 않을까 싶어 추가 하게 되었다.
작년에 썼던 글
- 미국 ETF 매주 1주씩 구매하기 챌린지
노후준비/ 연금저축펀드 적립 챌린지, 미국 ETF 매주 1주씩 구매하기
연금저축펀드의 시작 연금저축펀드에 대해서 알았지만 개설은 최근에 하게 되었다. 그렇다고 노후 준비를 전혀 안 했던 것은 아니다. 메트라이프에서 유니버설 변액을 가지고 있었고 나름 운영
bookishuniverse.tistory.com
현재 적립식 ETF 매수 종목은 이렇게 총 네 종목으로 최종 결정하게 되었다.
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
KBSTAR 미국나스닥 100
KODEX 인도 Nifty 50
KBSTAR 미국 S&P 500
이렇게 시작한 매주 적립식 매수 챌린지가 벌써 42주가 되었다. 수익률은 어떨까!
미래에셋 연금저축 계좌에 적립식 ETF 42주차 수익률
현재 무지성 매주 적립식 ETF 매수 결과는 15%의 수익을 주고 있다.
물론 나스닥이 크게 견인하고 있는 덕분이다. 그 중심에는 엔비디아같은 AI 주도주들이 있고.
시간이 지나 경제위기를 맞이한다면 아마도 이 계좌의 수익률은 처참히 내려갈 수 있다. 그때는 매주 매수하는 ETF 갯수를 두 배로 늘려서 매주 두 종목 총 8주의 ETF를 매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내려가더라도 올라가더라도 신경쓰지 않고 꾸준히 미국 증시 지수 추종 ETF를 장기간 구매했을 때 내가 원하는 수익률은 매년 7~10%의 성장률이다. 최저 예상치인 7%를 잡는다고 해도 나의 예상 금액은 약 1억 8천 ~ 9천정도.
게다가 경제 위기때는 ETF를 두배씩 총 8주 매수 예정이라 실제 예상결과보다 더 나은 약 2억을 좀 넘는 결과(연 7% 기준)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예상 적립식 ETF 결과
① 매년 미국 나스닥 성장률 7% 기준 → 약 1억 8천 ~ 9천
② 매년 미국 나스닥 성장률 10% 기준 → 약 2억 7천 ~ 8천
③ 매년 미국 나스닥 성장률 15% 기준 → 약 6억
(현재 예상 최대 상승률인 10% 보다 훨씬 더 높은 15%를 달성했다.)
(2024년 6월 기준) 매달 약 24~25만원으로 25년 뒤에 2억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은 부담되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괜찮은 적립 방식이 아닌가 싶다. 물론 25년뒤의 2억이라는 가치가 얼만큼 줄어들지는 모르겠지만 적금으로 모으는 것보다는 훨씬 나은 방식일터이니.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하늬가 정리하는 연금저축펀드 QnA +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3층 연금
나 역시 최근에 연금저축펀드를 시작했기에 완벽하게 잘 안다고 자부할 수는 없어도 내가 공부한 것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미리 알아두면 알아둘수록 연금저축펀드는 무조건 빨리 시작해야
bookishuniverse.tistory.com
노후준비/ 연금저축펀드는 장기적으로. 매주 하나씩 미국 ETF 매수하기
장기투자에서 적립식은 매우 편리하다. 장기투자에서 방향을 정하면 그대로 꾸준히 일정하게 움직이기만 하면 된다. 가장 편리한 방식이지만 장기적 우상향을 기대하는 전제하에 진행하는 것
bookishuniverse.tistory.com
'하늬 재테크 공부 > 미래 준비 -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개설 비과세 혜택 한도 확대 단점 납입금액 (0) | 2024.02.04 |
---|---|
연금계좌 SCHD 매수방법,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2) | 2024.01.27 |
보험 부담보 뭐야. 부담보기간, 전기간 부담보, 보험 부담보 해제 (0) | 2023.11.22 |
노후준비/ 연금저축펀드는 장기적으로. 매주 하나씩 미국 ETF 매수하기 (0) | 2023.10.20 |
노후준비/ 연금저축펀드 적립 챌린지 - 9월 미국 ETF 적립 구매 (0) | 2023.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