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늬 재테크 공부/미래 준비 - 연금

연금계좌 SCHD 매수방법,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by 스마트한 하늬 2024. 1. 27.
반응형

연금계좌 SCHD 매수방법,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2024년 1월 26일 확인한 SCHD 차트

배당주 투자로 인기가 많은 SCHD

 

미국 배당주 투자 중 대표 배당 성장 종목인 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 운용사: 찰스 슈왑 (Charles Schwab) 

 · 배당수익율: 3.89%

 · 발행주식수: 약 682,700,000개

 · 상장일: 2009년 11월 3일

 · 종류: 상장지수펀드

 

SCHD의 핵심은 배당금을 유지하거나 또는 증가시킨 지난 10년간 실적이 우수한 미국기업을 ETF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다우존스 100(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지수를 벤치마킹한 것이 특징이다. 

 

※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2011년에 출시되어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대체로 꾸준히 우상향한 인덱스다. 포함된 종목이 대부분은 미국 S&P 500에 포함된 종목들이 많아 S&P500과 비슷한 추세를 보이기도 한다.

 

 

 

연금계좌 SCHD 매수방법,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배당주로서 사람들이 SCHD를 많이 선택하는 이유

 

10년 이상 배당을 지급한 기업 중에서 배당 성장율, 부채대비 현금 흐름 비율과 ROE 우수여부까지 고려해서 100개 기업을 골라 집중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우리에게 잘 알려진 여러 배당주 ETF보다 안정적으로 배당성장율을 선보이고 있고 높은 배당율을 제공하는 종목 중 하나로 꼽힌다.

 

 매번 종목 분석을 할 시간이 없으면서 분기마다 꾸준히 배당을 하고 있어 안정적인 배당을 선호하는 이들이 많이 선택하는 ETF라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고 있다.

 

 

연금저축펀드에 SCHD를 살 수 없어도 대체 가능하다. 한국판 SCHD

 

연금저축펀드는 국내 주식과 ETF 상품만 넣을 수 있다. 그래서 미국주식이나 ETF를 넣을 수 없다는 것이 아쉽지만 이 부분을 대체할 수 있는 상품들이 있어서 그걸로 대신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일명 한국판 SCHD로 대체하는 것이다. 종목이름은 "미국배당다우존스"

 

앞서 말한대로 SCHD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벤치마킹한 상품인데, 한국 증권사에서도 이를 활용한 ETF를 운영하고 있다. 

 

①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한국투자신탁자산 운용사에서 만든 ETF 

②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미래에셋자산 운용사에서 만든 ETF 

③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신한자산운용에서 만든 ETF

 

종목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다우존스 100 지수를 추종하는 한국자산운용사에서 만든 한국판 SCHD로 불리는 ETF다. 한국판 SCHD는 인기가 많아 각 운용사들이 서로 경쟁을 하기 위해서 수수료 낮추는 경향이 크다. 덕분에 소비자들은 낮은 수수료로 매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판 SCHD인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사람마다 선택의 기준이 다르기에 기본적인 특징을 파악해보자.

 

연금계좌 SCHD 매수방법,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①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상장일: 2021년 10월 21일

 · 시가총액: 약 1,970억원

 · 총보수: 0.01% + 기타비용 0..08% + 매매중개수수료 0.1387% = 0.229%

 · 6개월 기준 수익율: +8.18%

 

 

연금계좌 SCHD 매수방법,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②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 상장일: 2023년 06월 20일

 · 시가총액: 약 3,340억원

 · 총보수: 0.01% + 기타비용 0.04% + 매매중개수수료 0.0504% = 0.1004%

 · 6개월 기준 수익율: +8.23%

 

 

연금계좌 SCHD 매수방법,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③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상장일: 2022년 11월 15일 

 · 시가총액: 약 3,800억원

 · 총보수: 0.01% + 기타비용 0.12% + 매매중개수수료 0.1440% = 0.274%

 · 6개월 기준 수익율: +8.23%

 

각 회사에서 상장일이 다르고 편입하는 시기도 다르고 하다보니 동일 추종에 비슷한 상품이지만 수익율의 차이가 분명히 발생한다. 그리고 보수 차이도 분명히 차이가 난다. 그러니 이 부분을 참고해서 선택하자. 

 

 

 

연금계좌 SCHD 매수방법,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수료

내가 보유하고 있는 미국배당다우존스

 

현재 나는 연금저축펀드 두 계좌를 가지고 있다. 연금저축펀드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작년 9월이었고 그때부터 꾸준히 조금씩 한쪽 연금저축펀드에 미국배당다우존스를 모아보기로 했다.

 

현재 보유갯수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21주

 

매주 한 주씩 적립식 매수하고 있어 21주가 되었다는 것은 21주차가 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 수익은 사실 큰 의미가 없긴 하지만, 현재 7.3% 수익이 나는 상태다.

 

연금저축펀드 계좌라 적어도 25년뒤에 열어볼 계획히고 1년에 52주, 추가로 배당받은 것 역시 ETF를 매수할 것이라 이것까지 고려하면 약 1,500주 정도 모으게 되지 않을까 싶다.

1주당 차후 (계산이 간편하게) 주가가 올라 3만원라고 계산해보자면

1,500 × 30,000 = 45000,000원으로 연간 배당금은 약 1,800,000원 예상된다.

 

이는 배당금이 성장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단순하게 연 4%로 계산한 것인데 실제 주가 역시 꾸준히 오르고 있고 배당성장율도 오르고 있는 종목이라 단순수치보다는 실제와 달라질 수 있고 ETF를 1주씩 모으는 과정에서 수 많은 경제상황과 함께 하게 될 예정이라 정확한 예측은 쉽지 않다.

 

하지만 단순 수치계산으로 연간 약 170만원의 배당을 받게된다면 월간으로 환산시 약 15만원 정도 받게되는 셈인데, 초기 시작할 때 매월 약 4만원의 돈을 투자하면서 불려나간 것 치고는 괜찮은 투자가 아닐까 싶다.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미국배당다우존스 종목만 있는 것은 아니고, 별도로 해외주식계좌에 SHCD를 모으고 있고, 또 연금저축펀드는 연간 400만원 한도 내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서 세액공제 받은 돈을 다시 재투자할 수 있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실제 단순 수치로 계산한 것보다 훨씬 더 이득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나의 최종 목표금융소득만으로 차후 은퇴했을 때 지금 물가 기준으로 월 300만원~400만원 정도 만들어지고 나이가 들어 은퇴했을 때 소일거리로 약간의 사회적 활동과 소득활동이 추가되는 것이 목표다.

 

그 중 한 종목으로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를 매주 적립하며 조금씩 부담없는 선에서 채워나가고 있다. 

 

나처럼 간식값 아끼면서 매주 한 주씩 꾸준히 흔들리지 않고 세금 혜택도 받으면서 연금을 부담없이 준비해보고 싶다면 연금저축펀드에 어떤 종목을 넣을지 배당을 선택할지 성장을 선택할지 가치를 선택할지 고른뒤 꾸준히 포트폴리오를 작성해나가면 좋을 것 같다. 일단 매주 한 주씩 매수하다보니 부담없다는 장점이 제일 큰 것 같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노후준비/ 연금저축펀드는 장기적으로. 매주 하나씩 미국 ETF 매수하기

장기투자에서 적립식은 매우 편리하다. 장기투자에서 방향을 정하면 그대로 꾸준히 일정하게 움직이기만 하면 된다. 가장 편리한 방식이지만 장기적 우상향을 기대하는 전제하에 진행하는 것

bookishuniverse.tistory.com

 

하늬가 정리하는 연금저축펀드 QnA +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3층 연금

나 역시 최근에 연금저축펀드를 시작했기에 완벽하게 잘 안다고 자부할 수는 없어도 내가 공부한 것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미리 알아두면 알아둘수록 연금저축펀드는 무조건 빨리 시작해야

bookishuniverse.tistory.com

 

 

* 이 글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을 뿐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오롯이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