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내 보조 배터리 반입 규정 강화
최근 항공기 화재 사고로 인해 기내 보조 배터리 반입 규정이 더욱 강화되었다.
승객들은 배터리 용량별 반입 제한과 보관 규정을 숙지해야 하니 아래 규정 정리를 한 번이라도 읽어보고 비행기에 탑승하도록 하자.
1. 반입 규정을 강화하는 이유
-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
- 기내 선반 위에 있던 보조 배터리 폭발이 원인으로 지목됨.
- 이에 따라 기내 반입 배터리 기준이 강화됨.
2. 배터리 반입 기준 강화
- 배터리 용량에 따른 반입 제한
- 100Wh 이하: 최대 5개까지 반입 가능.
- 100~160Wh: 항공사 승인 후 2개까지 반입 가능.
- 160Wh 초과: 기내 반입 불가.
- 단락(합선) 방지 조치
- 배터리 단자가 다른 금속과 접촉하지 않도록 테이프 사용 또는 봉투 보관.
-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 및 기내에서 단락 방지용 비닐 봉투 비치 예정.
p.s. 배터리 충전 단자에 금속성 물질이 닿았을 때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해 단자에 덮개를 씌우거나 절연 테이프로 막아야 한다. 기내 선반 위에 있던 배터리 폭발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사례가 있으며 [5], 단락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보조 배터리 관리 방안
- 승객이 직접 보관
- 연기 발생, 과열, 부풀어 오름 등의 이상 징후 발생 시 즉각 대응 가능하도록 몸에 소지하거나 좌석 주머니에 보관.
- 기내 선반 보관 금지.
- 기내 직접 충전 금지.
4. 안전 관리 방안 핵심
- 대상 확대 및 절차 강화
- 보조 배터리뿐만 아니라 전자담배도 반드시 기내에 반입해야 함.
- 머리 위 선반 보관 금지, 눈에 보이는 곳(좌석 주머니 등)에 보관.
5. 사전 준비 및 추가 조치
[1] 배터리 단자 보호 필수
- 금속성 물질 접촉 방지를 위해 덮개 씌우거나 절연 테이프 사용.
- 비닐 봉투에 개별 보관 가능.
[2] 기내 반입 가능한 배터리 제한
- 160Wh 이하의 배터리만 항공사 승인 후 반입 가능.
- 일반 보조 배터리는 대부분 100Wh 이하.
[3] 기내 충전 제한
- 보조 배터리를 사용한 직접 충전 불가.
- 합선 방지 장치 내장 제품만 허용.
6. 항공사별 대응 방안
각 항공사별로 구체적인 규정 이행 방식에 차이가 있다보니 세세하게 정보를 챙기는 것이 좋다.
- 대한항공: 좌석 주머니 보관 안내 강화, 투명 지퍼백 비치 검토.
- 아시아나항공: 기내 선반 보관 금지 안내, 관련 안내 방송 횟수 증가.
- 제주항공 등 저비용 항공사: 기내 선반 보관 금지 안내 방송 추가.
-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지퍼백 개별 포장 및 절연 테이프 사용 안내.
- 에어부산: 탑승 전 위험 물품 제거 대책 시행 예정.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반응형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페이 아직까지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도입시기 정리 (2) | 2025.04.09 |
---|---|
단통법 폐지 휴대폰 저렴하게 사는 방법, 핸드폰 가격 변화 지원금 상술 주의사항 정리 (1) | 2025.04.08 |
챗gpt 지브리 AI 생성 이미지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저작권 문제없을까? 저작권 침해 (0)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