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원금

2025년 4월 1일 부터 신청 가능한 정부 지원금 희망저축계좌 신청 방법

by 스마트 라이프7 2025. 4. 4.
반응형

4월부터 신청 가능한 정부 지원금 총정리

 4월부터 신청 가능한 정부 지원금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했으니 해당사항이 있다면 반드시 신청하도록 하자.

 

1.  4월부터 신청 가능한 정부 지원금

[1] 신청 방법

정부 지원금 신청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온라인 신청 - 해당 정책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

2️⃣ 오프라인 신청 - 가까운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

그 중에서 오프라인 방문 신청을 통해 진행되며,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하다.

 

[2] 신청 기간

  • 4월 1일 ~ 4월 22일
  • 7월 1일 ~ 7월 22일
  • 10월 1일 ~ 10월 24일

👉 한 달 내내 신청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날짜에만 신청 가능하다.

 

 

2. 3년 동안 최대 720만 원 지원하는 희망 저축 계좌

이번 정부 지원금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제도는 희망 저축 계좌다.

희망 저축 계좌를 신청하면 본인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할 경우, 정부가 동일한 금액을 추가 지원해주는 제도로 효율성이 상당히 좋다.

 

[1] 지원 금액

  • 1년 차: 매월 10만 원 저축 → 정부 지원금 10만 원 추가 (연 120만 원 지원)
  • 2년 차: 매월 10만 원 추가 지원 → 총 20만 원 지원 (연 240만 원 지원)
  • 3년 차: 매월 10만 원 추가 지원 → 총 30만 원 지원 (연 360만 원 지원)

☞ 총 3년 동안 지원금을 받으면 최대 72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

 

 

[2] 신청 조건

근로 활동 중인 가구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어야 함)

소득 기준 - 기준 중위 소득 50% 이하

 

📌 기준 중위 소득 50% 이하 기준

  • 1인 가구: 119만 6,700원 이하
  • 2인 가구: 196만 6,329원 이하
  • 3인 가구: 251만 2,671원 이하
  • 4인 가구: 304만 8,887원 이하
  • 5인 가구: 355만 4,096원 이하

 

[3] 지원 방식

  • 본인이 10만 원 저축하면 정부가 10만 원 추가 지원
  • 최대 3년 동안 저축 가능
  • 3년 후 본인 저축액 + 정부 지원금 + 이자까지 지급

 

3. 희망 저축 계좌 신청 방법

[1] 신청 절차

  •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신청 승인 후 '하나은행'에서 통장 개설
  • 비대면 통장 개설 가능

 

[2] 희망 저축 계좌 1 & 2 차이점

  • 희망 저축 계좌 1: 기초 생계·의료급여 수급 가구 대상
  • 희망 저축 계좌 2: 일반 저소득층 대상
  • 신청 일정 (총 4회):  3월 14일 (마감) / 6월 2일 ~ 6월 13일 / 9월 1일 ~ 9월 12일 / 11월 3일 ~ 11월 14일

 

 

4.  최대 1,08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방법!

  • 3년 동안 매월 10만 원 저축하면 본인 저축 금액은 360만 원
  • 여기에 정부 지원금 720만 원이 추가 지급
  • 최종적으로 받을 수 있는 총 금액: 1,080만 원!

 

5.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 신청 후 3년 동안 근로 활동을 유지해야 함
  • 기초 생계·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추가 요건 확인 필요
  • 소득 기준을 초과하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청년도약계좌 활용법 가입조건 혜택 비과세 혜택 추천 포트폴리오

청년도약계좌 활용법 1. 청년 도약 계좌, 꼭 가입해야 할까?기존의 청년 희망 적금이 2년 동안 매월 50만 원을 저축하는 방식이었다면, 이제 만기 후 청년 도약 계좌로 이전할 수 있다. 정부 지

bookishuniverse.tistory.com

 

2025년 소상공인 정부 대환대출 지원조건 금액 정보 서류 모두 정리

소관부처·지자체: 중소벤처기업부사업수행기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신청기간: 예산 소진시까지 1. 지원대상① 중/저신용 대표(이상) 중 NCB 개인신용평점 919점 이하② 소상공인기본법 제 2

bookishuniverse.tistory.com

 

 

반응형

댓글